대형면허 시험은 만 20세 이상이고,운전면허 경력 1년이상자이면 응시가 가능하고
시험은 적성검사와 장내기능시험을 통과하면 면허증을 합격당일날 발급 받을 수 있다. 거의 모든 차를 운전가능하다. 활용을 하려면 대형 화물차를 경력을 쌓고 관광버스 운전,,,노래 잘하고 놀기 좋아 한다면 해볼만 하다.
시내 버스는 위의 운전 경력자를 대상으로 모집한다.
고속 버스 기사를 하려면 버스 경력이 상당한 년수를 필요로 한다. 요즘은 버스가 사양산업이라 일은 힘들어 지고 수입은 상재적으로 적은 직종으로 분류할 수 있다.
취업의 폭이 넓어 취직을 하려면 길은 많다. 그러나 기사로서 취업을 하기 보다는 차를 사서 들어가는 지입의 형태가 많아 차의 할부금과 차량 유지비 등을 고려해서 잘 선택해야 한다.
대형면허 코스 공식
<< 굴절 코스 >>

1. 진입로에서 우측 황색선과 20 센티의 거리를 두고 진입하면서 정면의 2번 지점 벽돌이 전면 유리창에서 가려지기 직전에 정지한다. 그리고 핸들을 두바퀴 반 좌로 감는 다. 2. 그리고 우측 백미러를 보면서 우측 앞바퀴가 3앞의 황색선과 거의 닿을 정도만큼 간다. 대형차는 백미러로 앞바퀴가 보이므로 망설이지 말고 천천히 가면 된다. 3. 앞바퀴가 황색선 닿기 전에 정지후 핸들을 두바퀴 반 풀고 천천히 50세티만 후진한다. 더 후진하면 좌측 뒷바퀴가 걸리므로 많이 후진해도 안된다. 4. 그 다음 정지하고 핸들 좌로 다감고 천천히 좌우 백밀러 보면서 통과하면 거의 통과가 된다.
혹 안되면 같은 요령으로 한번 더 한다. 5. 나갈 땐 들어갈 때 요령과 같이 5번 벽돌을 윈도창이 가려지기 직전 정지하고 핸들 두바퀴
반 좌측 앞바퀴가 황색선 닿기 직전 정지했다가 핸들 두바퀴 반 풀고 50센티 후진 했다가
핸들 우로 다감고 다시 백미러 보면서 나가면 된다.
곡선 코스는 앞바퀴의 흙받이를 노란선에 맞추고 따라가면 됩니다. 들어갈땐 우측 흙받이가 황색선과 닿을 듯 말 듯 하게 나갈 땐 반대로 좌측 앞바퀴 흙받이가 좌측 황색선과 닿을 듯 하면서 나가면 됩니다. 뒷바퀴를 보면 더 헷갈리니 그냥 앞바퀴만 보면서 진행하는 데 더 안전합니다.
<< T자 코스 >>
① 진입시 좌측 앞바퀴와 황색선이 20cm 떨어져서 진입합니다. ② 진입한 차량 유리 하단부를 보고 검지선이 가려지면 약간 통과하여 정지한 후 핸들을 시계방향으로 반바퀴 돌린 다음, 좌측 앞바퀴 흙받이를 노란 선에맞춰 정지하세요. ③ 후진하기 위해 후진기어를 넣어야겠죠? 그리고 핸들을 좌측으로 끝까지 돌린 다음 좌우측 백미러를 보면서 후진하세요. ④번과 평행이 되면 핸들을 정위치로 한 다음 후진 확인선까지 가서 정지하시면 확인음이 울릴 것입니다. (확인음이 들리기 전에 다음 단계로 넘어가시면 안됩니다 -_-) ⑤ 전진기어를 넣고 핸들을 왼쪽으로 끝까지 돌린 다음 좌측 백미러를 보면서 전진하세요. 좌측 앞바퀴가 노란 선에 닿기 전에 정지하고, 우측으로 핸들을 끝까지
돌립니다.
정면쪽으로 나가면서 우측 뒷바퀴를 보면서 나가다가 좌측 앞바퀴를 보면서 그냥 대개
통과가 됩니다. 만약 걸리는 경우가 생긴다면 굴절을 통과하는 요령과 똑 같이 하면 될겁니다.
<<곡선코스>>

곡선코스는 진입할 때 차의 길이가 길어서 우측 뒷바퀴가 벽돌에 올라갈 우려가 있다.
입구에서 최대한 좌측으로 붙여 진입해야 한다.
1번 지점부터는 백미러를 보면 앞바퀴나 앞바퀴 흙받이 가 보인다. 그 흙받이가 황색선을
따라가면 된다.
2번 지점에서 회전후에는 3번 지점부터는 좌측 흙받이가 좌측 황색선을 거의 붙여 따라가면 된다.
뒷바퀴를 보면 오히려 집중력이 떨어져서 검지선을 밟을 확률이 높아지므로 앞바퀴 흙받이만
주의해서 살살 빠져 나가면 된다.
진입하는 과정이 어렵지 나가는 건 흙받이를 황색선에 붙여 따라가면 되므로 어렵지 않다.
<< 주차 코스 >>

1번 45도 선과 우측 뒷바퀴를 일치하고 정지합니다. 그리고 핸들은 우측으로 완전히 감습니다. 후진하다가 좌측 백미러를 보고 2번 모서리가
가려지면 얼른 정지 합니다. 그런데 2번 모서리라 하면 실제론 헷갈릴 수 있으니 흰선 끝이 가려지면 정지하세요.
그게 안 헷갈립니다. 그 다음 어 쨌든 모서리가 가려지면 정지하고 핸들을 정위치 합니다. 그리고 후진하다 보면 4의 지점 우측 백밀러로 보았을 때 뒷바퀴가 흰선과 20센티 정도라고
생각되는 지점에서 정지하고 핸들을 좌로 다감습니다.
백미러로 뒷바퀴 앞바퀴가 모두 흰선에 올라가면 성공입니다. 만약 올라가지 않는 다면
약간의 수정을 가하면 됩니다. 대형면허 보시는 분들이라면 전 후진으로 약간의 오차를 수정하는 것은 쉬울겁니다.
대형면허 시험시 주의 사항
사이드 미러가 큼직해서 앞,뒷바퀴 모두 보입니다. 의자에 앉아보고 잘 안보인다 싶으면 꼭 조정하시고요. 각코스별 제한시간은 2분입니다.
옆에 채점기에 보면 전체시간도 나오고 코스진입하고 시간도 나옵니다. 시간분배등을 생각해볼때 평소때는 2단으로 가는게 좋습니다. 실제로 2단을 많이 사용하고요 출발도 2단으로 하면 됩니다. 언덕에서 경사로 정지후에 다시 올라갈때만 1단쓰면 될거고요. 그리고 차가 힘이 좋아서 웬만하면 안밀립니다.
중앙선은 안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안넘어 가면 길따라가는 게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양쪽 바퀴가 다 넘지만 않는 다면 되고요,연석을 타면 바로 실격처리 합니다. 그리고 첨엔 시간 때문에 빠듯할 겁니다. 시험장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대개 12분 55초 쯤 됩니다. 그 시간이 초과 되면 5초 지날 때마다 1점이 감점이 됩니다.
참고로 시험장 가서 시험보러온 사람들이랑 이것저것 얘기나눠보세요. 그리고 무슨버스로 보는지는 아시나요? 탑승하고 꼭 브레이크 클러치 유격 확인해보시고
비상등위치 깜빡이 위치 확인하시고 미러조절하고. 기어도 한번씩 넣어보세요. 기어봉 유격도 대략 파악하시고~ 2단넣는다는게 잘못해서 4단들어가는경우도 있거든요.
1종 보통과 대형차의 다른점
또 1종대형은 버스가 길다는거 감안하고 운전자 뒤에 앞바퀴가 있다는걸 충분히 생각하면서 시험을 봐야합니다. 뒷바퀴가 연석밟고 강제실격당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습니다.
혹시 시험보는 버스 기종이 대우 BF105(구형버스)일때만 참고하세요. 깜빡이는 우측 레버입니다. 위로 올리면 좌측 밑으로 내리면 우측깜빡이가 켜집니다. 있는데 그게 비상등 스위치고요. 잡아땡기면 비상등이 켜지고 밀어넣으면 꺼집니다.
또 어떤차는 깜박이는승용차와 같고 비상등위치는 우측 레버를 앞으로 당기면 즉 승용차의 윈도브러쉬 물쏘듯이 레버를 당기면 비상등인 것도 있고 참고로 와이퍼는 우측 레버를 돌리면 되고요.
우측레버를 위로 올리면 엔진브럭이라나 뭐라나..... 그걸 올리면 엔진브레이크가 걸려 차의 속도가 뚝 떨어지니 주의 하시고요...
기어의 위치가 좌측 하단이 1단 중앙상단이 2단 중앙하단이 3단 이렇게 되어 있는 것도 있으니 차를 타면 일단 기어와 비상등의 위치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핸들은 좌로 3바퀴 우로 3바퀴 돌아가더군요. 자꾸 돌아간다고 당황하진 마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