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골프,등산,스포츠

비슬산 대견사지 삼층석탑(琵瑟山 大見寺址 三層石塔)

마니쏘리 2010. 6. 25. 11:52

비슬산_019[1].jpg

 

 

비슬산_033[1].jpg

 

 

비슬산_024[1].jpg

 

비슬산 대견사지 삼층석탑(琵瑟山 大見寺址 三層石塔)
대구시 달성군 유가면 용봉리 산1번지 비슬산 중턱 8부 능선의 옛 대견사 절터에 남아 있는 탑이다.
높은 벼랑 끝에 서 있는 이 탑은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으로,
절터내의 여러 석재들과 더불어 쓰러져 있던 것을, 1988년에 대구시 달성군에서 겨우 복원한 것이다.
일반적인 탑과 달리 절벽의 높은 바위를 바닥돌 삼아 그 위로 기단과 탑신을 올려놓았다.
기단과 탑신의 몸돌에는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의 조각을 둔 것 외에는 거의 꾸밈을 하지 않아 소박하다.

 

만들어진 시기는 절의 창건과 때를 같이하는 9세기 통일신라시대로 추측된다고 한다.
오랜 세월 무너져 있었으면서도 당당함을 잃지 않고 오히려 주변 산세를 다스리고 있는 듯한
위엄이 우러난다. 1995.5.12일 시도유형문화재 제42호 (달성군)로 지정되었다.

 

대구 달성군 유가면 비슬산 소재사(琵瑟山 逍災寺) 아래 주차장에서 약 2시간 오르면 만나며,
대견사지 암릉 너머로 유명한 수십만평 진달래평원이 펼쳐지고 비슬산 정상(1,083.6m)인 대견봉(大見峯)은
대견사지(大見寺址)에서 4km 약 1시간30분 더 진행하면 만난다.

 

 

 

 

비슬산_006.jpg

주차장에서 약 15분 걸어 오르면 만나는 비슬산 소재사(琵瑟山 逍災寺) 일주문

 

 

비슬산_010.jpg

비슬산 소재사(琵瑟山 逍災寺) 일주문에서 약 30분 오르면 만나는 대견사지와 비슬산 정상 가는길 이정표

 

 

비슬산_011.jpg

 

비슬산_013.jpg

바위 이정표에서 약 50여분 오르다 보니 왼편으로 하늘금이 보이는 주능선 아래

대견사지 삼층석탑이 바위 위에 그 모습을 드러낸다.

 

비슬산_015.jpg

올라온 소재사 쪽 계곡쪽도 내려다 보며...

 

 

 

비슬산_017.jpg

대견사지 삼층석탑이 연분홍 진달래 너머로 점점 가까이 다가온다.

 

비슬산_018.jpg

비슬산 주능선 바로 아래 평평하고 넓은 공간에 대견사지 가는길이 200m라 알려준다.

나그네는 대견사지를 둘러본후 이곳에서 비슬산 정상으로 향할것이다.

 

 

비슬산_021.jpg

 

 

비슬산_023.jpg

대견사지 부처바위가 아득한 산능선과 골짜기를 내려다 보는듯 하다.

 

 

비슬산_025.jpg

 

비슬산_026.jpg

 

비슬산_028.jpg

비슬산 대견사지 삼층석탑

 

 

비슬산_029.jpg

대견사지를 뒤에 두고 비슬산 주능선의 조화봉(1,058m)쪽을 올려다 보며...

 

 

비슬산_032.jpg

넓다란 바위 위에 우뚝서서 세상을 내려다 보며 꾸밈없는 소박한 대견사지 삼층석탑을 다시한번 뒤돌아 보며... 

비록 통일신라시대의 대견사는 허무하게 터만 남아 있지만, 오늘도 내일도 삼층석탑과 함께 하리라...

 

 

 

비슬산_030.jpg

 

비슬산_031.jpg

대견사지를 뒤로하고 주능선을 넘어 내려오며 조화봉 능선도 뒤돌아 보며

나그네는 비슬산 진달래평원과 정상을 바라보며, 늘 고생하는 도반인 배낭과 등산화와 더불어 바쁜 걸음을 옮긴다.

 

 

원문출처"山河